상상력을 펼칠 전체 무대를 폐쇄적 공간으로 상정한다면, 그 다음 고민은자연스럽게 그 공간의 바깥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특히 폐쇄적 공간에서의이야기는 해당 공간에서의 탈출을 기반으로 할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폐쇄된 공간과 바깥 공간 과의 관계가 중요해진다.
우선은 주어진 폐쇄된 공간의 바깥에는 아무것도 없는 無의 상태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무의 상태라는 것이 실제로 아무것도 없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어떤 특별한 이유로 해당 공간 이외의 바깥공간으로의 진출입이 완전히 차단된 것을 가정한다.
방사능 오염이라든가,극심한 기후 변화 등으로 주어진 공간 이외의 공간에서는 생명의 유지 자체가 불가능한 하다는 설정인 것이다.
이런 공간을 배경으로 이야기를 만들어갈 경우, 공간을 벗어나는 탈출이의미가 없기 때문에 이야기를 담기에 충분할 만큼 공간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적어도 그공간 속에 사는 생명체들 입장에서는 말이다.
이런 공간이 설정되는 경우는 대부분 야만 세력에 의해 지배되는한 공간에서 새로운 정치적 질서를 구축하거나, 혹은 단일 세력에 의해 지배되는 억압적인 상태에 대항해새로운 세력에 의한 구 세력의 전복이라는 형태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두 번째는 상상력이 펼쳐지는 주무대는 폐쇄된 공간이지만, 그 곳을벗어난 바깥은 현실에서의 일상 공간인 경우다.
주로 현재의 공간과 시간 속에 배치되지만 현실에서의 물리법칙이나상식이 통하지 않는 격리된 공간을 무대로 한 것으로, 어떤 목적(일반적으로생존)을 가지고 그 공간을 탈출하여 자신이 원래 알고 있던 익숙한 공간으로 돌아오는 것 자체가 목적인이야기에서 흔히 도입된다.
그리고 폐쇄된 공간의 존재나 그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 바깥의 현실 공간에서는무시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즉, 폐쇄된 공간에 존재하는세력의 영향력이 폐쇄된 공간 내부로 한정되는 편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비교적 협소한 폐쇄 공간에서의탈출 과정을 통해 공포나 스릴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야기[1] 구조에 자주 등장한다.
세 번째는 주무대인 폐쇄된 공간에서 벗어난 공간이 존재하지만,
폐쇄된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생명체 대부분은 그 곳이 어떤 곳인지 알지 못하는 미지의 공간을 바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당연히 이야기 구조에 따라 경중의 차이는 있겠지만,
미지의 바깥 공간에 대한 최소한의 설계가 필요하며,
폐쇄된 공간을 지배하고 있는 세력의 영향이 바깥 공간에서도 일정 수준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보통이다.
이런 공간의 경우는 탈출 자체가 일차적인 목적이긴 하지만, 그 후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이차적인 목적이 다시 주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차적인 목적은 미지의 공간에있는 무언가를 파악하는 것[2]이될 수도 있고,
새로운 문명을 건설하기 위한 모험의 시작일 수 있으며,
어느 쪽이든 폐쇄된 공간의 세력으로부터의 도망과 반격이라는 테마를 가질 때가 많다.
('약속의 네버랜드' 라는 일본 만화는 이런 공간 설계가 아주 잘 되어 있다.)
네 번째는 폐쇄된 공간 이외의 공간이 존재하지만, 그 공간 역시 폐쇄된공간인 경우가 있다.
이 새로운 폐쇄된 공간은 원래의 공간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별개의 공간일 수도 있고, 그 공간을 둘러싼 바깥일 수도 있다.
이런 공간을 상정한 이야기들은주로 폐쇄된 공간에 맞서는 또 다른 세력을 등장시키기 위한 은밀한 공간으로서의 폐쇄적 공간을 설정하기도 하고, 끝없는탈출을 통해 다음 이야기를 이어가기 위한 또 다른 공간[3]으로설정되기도 한다.
[1] ‘Cube(1997, 벤센조 나탈리)’, ‘잃어버린세계를 찾아서(Journey To The Center Of The Earth)’ 등 많은 작품에서 익숙하게사용되었다.
[2] ‘혹성 탈출’에서는생존과 함께 원숭이 지배권 바깥에 있는 또 다른 문명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파악이 탈출의 목적으로 주어진다.
[3] ‘Evil Dead(1983, 샘 레이미)’ 3부작에서이런 구조를 볼 수 있다.
"이 블로그에 정리된 내용은 '상상력 공학 101'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
'상상력공학 > 101 판타지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타지 공간 설계 - 세력의 숫자와 공간의 개방성 (0) | 2021.06.30 |
---|---|
판타지 공간 설계 - 세력의 정의 (0) | 2021.06.30 |
판타지 공간 설계 - 개방적 공간과 폐쇄적 공간 (0) | 2021.06.29 |
판타지 공간 설계 - 상상력의 공간과 이야기의 관계 (0) | 2021.06.29 |
판타지 세계의 구성요소와 설계 프레임워크 (0) |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