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사는 이야기/컨설팅에 대한 작은 생각

넷플릭스에 바란다 2/2 - 이상적인 OTT 플랫폼

강인태 2019. 10. 17. 17:38
반응형

지난 글에서 넷플릭스나 디즈니가 우리 나라에서는 코드 커팅을 많이 유도해내지 못할 거라고 했었는데요.

거기에는 우리나라 IPTV들이 On-Demand라는 필요에 대해서 제법 잘 대응하고 있다는 측면도 있지만, 

우리 나라 시장만 놓고 보면 웹하드의 존재가 더 큰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웹하드 때문에 코드 커팅을 안 한다기보다는

넷플릭스 때문에 코드 커팅을 할 사람들이라면, 

이미 대부분 웹하드를 이용하면서 코드 커팅을 한 상태일 거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코드커팅 할 사람은 이미 웹하드로...>

 

 

사실 현재의 제 상태이기도 한데요. 

아파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채널 서비스 외에는 IPTV든 케이블인든 유료 방송을 시청하지 않은 지 오래 됐습니다. 

최소 5년 이상? 

그 대신 원하는 컨텐츠 대부분은 웹하드에서 불법/편법/합법을 오가며 구하고 있는 중이죠. ^^

 

제가 이런 말을 공공연히 하면 몇몇 지인들은 이렇게 되묻습니다.

 

"아니, 그렇게 컨텐츠 산업 부흥을 부르짖는 주제에 웹하드 따위나 이용하면 되냐?"

 

하고 말입니다. 

 

이 말은 반쯤은 맞고, 반쯤은 틀린 질문인데-

 

웹하드에도 꽤 많은 합법적인 컨텐츠가 있다는 아주 작은 이유가 하나 있고

또 하나는 제가 웹하드 같은 형태의 컨텐츠 플랫폼을 응원한다는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그러면 또 누군가는 이렇게 반문하겠죠.

 

"공짜로, 불법으로 계속 컨텐츠를 이용하겠다는 거야?"

 

당연히 그런 뜻은 아니겠죠.

그런데 왜 이런 주장을 하냐고요?

그건 바로 웹하드의 컨텐츠 유통 형태가 제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컨텐츠 플랫폼에 가장 가깝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웹하드의 컨텐츠 유통 구조를 먼저 이야기할 필요가 있는데요.

 

[웹하드 구조]

                 

 

우선 웹하드에 컨텐츠가 올라오는 과정은 주로 업로더들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누군가가 원할 것 같은 컨텐츠를 찾고, 

그걸 적당히 인코딩하고,

필요할 경우 누군가의 번역 자막을 찾고, 

없으면 자동 번역기를 돌려서 싱크를 맞추고,

컨텐츠에 대한 적당한 설명과 홍보 문구를 작성하고,

컨텐츠를 알릴 수 있는 대표적인 이미지까지 포함해서

웹하드라는 플랫폼에 올리는 거죠.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작업을 하는 '업로더'라는 직업?, 지위? 

그것이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다는 겁니다.

한마디로 누구나 별다른 제약 없이 원하는 컨텐츠를 올려서 팔 수 있다는 이야기죠.

유투브와의 차이는 개별 컨텐츠가 어떤 식으로든 유료라는 점과

또 하나 컨텐츠 owner와 업로더가 서로 다른 객체라는 사실이죠.

유투브는 원칙적으로 컨텐츠 owner와 업로더가 같은 사람이거나, 

owner에게서 공식적으로 사전에 허가받은 업로더라는 점을 생각하면-

웹하드의 업로딩 방식은 좀 더 개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성공적이고 이상적인 플랫폼의 제1조건인 개방성(Openness)에서 

웹하드가 가장 선진적?이라고 할 수 있는 거죠.

 

이러한 개방성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요?

 

첫 번째는 '보편적 완결성' 확보입니다.

넷플릭스에 컨텐츠 확보를 위한 팀에 직원수가 몇명이나 될까요? 

아무리 많아도 100명을 넘기 어려울 겁니다. 

소수의 인원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컨텐츠 대부분을 발굴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저작권자와 일일이 협상하고, 계약하는 일을 하다보면 일년이 금방 다 가겠죠.

 

하지만 웹하드의 개방적인 업로더 구조는 

수백, 수천 명의 업로더들이 전세계의 방송과 인터넷을 샅샅이 뒤져서 

고객들이 원하는 컨텐츠들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그 컨텐츠의 owner가 해당 플랫폼에 못 올리도록 사전에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무차별적으로 플랫폼에 등재하기 때문입니다. 

 

그 덕분에 웹하드에는 어떤 플랫폼보다도 많은 수의 컨텐츠가 올라가 있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one-stop 쇼핑을 할 수 있을 확률이 가장 높은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겁니다.

 

       <넷플릭스 대비 좋은 플랫폼의 면모를 더 많이 갖춘 웹하드>

                 

 

두 번째는 자생적인 진화(Self-Evolution) 가능성의 확보인데요...

넷플릭스의 경우 플랫폼의 동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 끊임없이 소위 Original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만 이 제작비로 7~8조원(매출의 절반이라는 원칙을 지키고 있는 듯 합니다만...)을 썼더군요.

다시 말해 플랫폼의 진화를 플랫폼 내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의 수혈을 통해서 이루어내고 있는 셈입니다.

어느 시점에 수혈(이 경우에는 투자받은 돈이겠죠.)이 끊어지면 과연 넷플릭스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유지하더라도 지금과 같은 활기를 보여줄 수 있을까요?

 

그런데 웹하드는 그냥 가만히 내버려두면 소위 업로더들이 세상에서 만들어지는 수많은 컨텐츠들을

알아서 발굴하고, 소비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고, 마케팅까지 알아서 합니다.

 

 

이 두 가지, Openness와 Self-Evolution은

플랫폼을 연구하거나 다루는 대부분의 이들이 인정하는 좋은 플랫폼의 필수불가결한 속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속성을 웹하드는 갖추고 있고, 넷플릭스는 적어도 현재까지는 없는 셈이죠.

아마 디즈니 플러스나 애플 TV+도 마찬가지 일듯 합니다.

 

이렇게 보면 웹하드는 불법과 편법의 그늘 사이에 서너 발 담그고 있다는 측면과

그것을 너무 드러내지 않기 위해서 정말이지 엉망진창인 UI(User Interface)를 의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을 제외하면-

적어도 현존하는 컨텐츠 플랫폼 중에 가장 진화한 형태라는 제 주장이 제법 그럴 듯 하지 않나요? ^^

 

문제는 편법과 불법을 오가기 때문에 올바른? 벤처나 자본이 투입되기가 어렵고,

그렇다보니 서비스 품질도, 마케팅 전술도 개선이 어렵고, 

글로벌 플랫폼 따위는 꿈도 꾸지 못한다는데 있습니다.

 

그러면 왜 웹하드는 이렇게 소위 회색지대에 머물게 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컨텐츠 산업의 고질적인 저작권 문제가 있습니다.

제가 무려 7년 전에 우리나라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했던 그림이 있는데요.

2019년 현재에도 여전히 우리나라 컨텐츠 산업에 적용될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업체 역시 이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의 걸림돌

 

 

 

간단히 말하면 서비스를 하기 위한 저작권 이용권한을 얻는 것이 너무 어려운 일이라는 겁니다.

저작권은 완벽하게 파편화되어서 흩어져 있고,

그걸 정당하게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이해관계자를 만나서 설득하고, 계약하는 일을 반복해야 합니다.

그러다보니 이작업 자체가 비용도 시간도 웬만한 기업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올라가버리는 거죠.

유독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 언저리가 소위 Enterpreneurship이 발휘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 있는 거죠.

 

이런 현상은 영상 컨텐츠뿐만 아니라, 음악, e북, 게임 같은 분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다행히 음악과 게임은 애플, 멜론, 스팀, 앱스토어 같은 플랫폼들이 등장하면서 

보편적 완결성을 갖추었죠.

하지만 멜론조차도 사업을 론칭하고 5년 이상 국내의 주요 가요조차도 모두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됐었고,

첫 음악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렛츠뮤직이 탄생했던 시점에서는 거의 10년이 지나서야 보편적 완결성의 문제가 해결됐죠.

그 해결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진통과 다툼이 있었는지는 해당 분야에 종사했던 분들은 다들 잘 아실 겁니다.

 

음악과 게임이 해결된 이 시점에도 e북과 영상 컨텐츠는 여전히 

어떤 플랫폼이 보편적 완결성을 갖추는 것이 요원해보이죠.

 

그러다보니 웹하드의 기상천외한 업로딩 기법이 탄생한 겁니다.

즉, 누군가 

"내 거 올리지 마!"

"내 영화는 한 편당 5000원을 받아줘!"

라고 주장하기 전까지는 저작권이 없는 것으로 간주해버리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웹하드에 별 관신이 없는 해외 컨텐츠 제작사들은 

아무도 자기네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다보니

웬만한 해외 컨텐츠들은 무료에 가까운 비용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겁니다.

그러다 어떤 컨텐츠를 국내 업체가 수입을 하게 되면 웹하드의 해당 컨텐츠에 제동이 걸리는 거죠.

제휴 컨텐츠가 돼서 가격이 폭등하거나, 아예 사라지거나, 자막이 없거나-

 

이렇다보니 간혹 넷플릭스 같은 경우는 컨텐츠를 고의적으로 흘리기도 합니다.

10부작인 드라마를 3부 정도는 저작권 주장을 안 하고, 4부부터 주장하는 거죠.

웹하드를 넷플릭스 오리지널의 마케팅 창구로 활용하는 거죠.

심지어 몇몇 작품은 전체 컨텐츠를 일부러 노출해서 플랫폼 자체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정리하자면

웹하드는 얽히고 설킨 컨텐츠 저작권 상황에서 

상상초월의 대규모 자본 투입 없이, 

벤처스러운 컨텐츠 플랫폼을 만들려는 사람들의 유일한 탈출구인 셈입니다. 

(물론 법원에 불려다니고, 자칫 구속까지 될 수 있다는 각오가 필요하겠지만...ㅠ.ㅠ)

 

그런데 말입니다.

만약에, 정말 만약에 2~3년전부터 화두가 되고 있는 블록체인이 제대로 활성화되고

그것이 웹하드에 적요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시 말해 대부분 저작권자들이 거대한 블록체인 상에 자신의 컨텐츠를 등록하고,

많은 플랫폼들은 그 블록체인에 결합해서 컨텐츠를 유통하는 겁니다.

투명하게, 신뢰를 바탕으로-

그렇게 되면 플랫폼 입장에서는 저작권자들과 일일이 만나서 설득하고, 계약 하는 그 지난한 과정이 필요없어지게 되겠죠.

아마 그때부터가 진정한 디지털 컨텐츠 혁명? 혁신?이 일어날 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역시나 10년 전쯤에 제가 열심히 주장했었던 디지털 컨텐츠 뱅크의 역할을 블록체인이 대신해주는 셈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은행을 활용한 플랫폼의 등장 가능성

 

블록체인과 웹하드의 결합.

그리고 세상의 모든 컨텐츠가 다 있는 멋진 합법적인 플랫폼의 탄생!

정말 멋지지 않나요?

누가 주도하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 그런 플랫폼의 탄생에 대한 수많은 사람들의 갈망이 있는 한, 

그리 멀지 않은 시간에 일어날 일이라고 믿습니다.

인간사는 늘 그래왔으니까요.

 

반응형